Noname/Sandbox-ITD

Sub-page of Noname

Five stones vs. God


lvdjdwjea
 
 
 
 
 
 
 

One Pure

Color "Owns Point"


[Diagram]
32–28  
[Diagram]
색득점  




두꺼운(통원목 四寸 이상이라 하자) 바둑판에 다리 붙였을 때 그 다리 길이는? 간단하다. 바둑판 밑으로 바둑통이 들어가는 높이다. 귀한 원목이라면 바둑판 위에 바둑통을 올려놓지 마라. 눌리니까.


하루에 한 판 이상 두지 마라. 필요하면 복기하고 의미 있는 대국이면 기보를 적어라.


無級(입문자·초보자·초급에 미달한 자)
9급(초급), 8급, 7급, 6급, 5급, 4급,
3급(1단), 2급, 1급(4단)
강1급(5단)
대표 급수는 9, 7, 5, 3, 1
특급은 강1급
1단(초단), 2단, 3단
4단, 5단,
6단(급수 초탈), 7단(세계 랭킹 1–10위)
8단(인공 지능)
9단(외계 지성)
단급 체계
9단 =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Galactic
8단 = Artificial intelligence
Earth dominated
7단 = World class
Top 10 ranked players
 6단

 高段者

강1급ㆍ5단
 1급ㆍ4단
고급·중단
 3단  2급≔ 2단㊥–3단㊥
중급·저단
 2단
 3급ㆍ1단
 4
 5급
 6
 7급
 8
 9급
저급

9급에서 6단 까지가 스킬 레벨이다.
입문한 초보자부터 9급에 미달하는 자는 무급.
대표 급수는 9급, 7급, 5급, 3급, 1급.
3급이면 초단 실력이다. 유단자 입성이라 보면 된다.
하나의 레벨(등급·단계) 성숙도를 상-중-하로 구분했을 때, 2급이 2단 中에서 3단 中에 걸친다.
1급은 4단.
특급인 강1급은 5단 동격.
6단은 라이센스 최종장.
7단은 월드 클래스. 최상위 열 명. 랭킹 승강에 따라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거라고 보면 된다. 강자에 대한 예우 차원.
8단은 사람이 못 이기는 AI
9단은 천상계다. 지구권을 넘어서는 범주.


[Diagram]
 

[Diagram]
白 1득점  
     

➝⋯

     
        . . .
  . . . # # # .
. # # # O O O # .
. # O O O . O # .
. # O # # O # # .
-----------------
     
        . . .
  . . . # # # .
. # # # O O O # .
. # O O O . O # .
. # O . # O # # .
-----------------
     
        . . .
  . . . # # # .
. # # # O O O # .
. # O O O # O # .
. # O . # O # # .
-----------------
     
        . . .
  . . . # # # .
. # # # O O O # .
. # O O O # O # .
. # O # # . # # .
-----------------
     
[Diagram]
黑+13, 白−1.  

    ↓

        . . .
  . . . # # # .
. # # # O O O # .
. # O O O . O # .
. # O # O O # # .
-----------------
[Diagram]
白+3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 # # # # # # # # # |
共 --------------------------------------- 存  
 

[ext] JapaneseCountingExample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實寫. 누군지 모름. 어디서 줏었는지 기억 없음.

[Diagram]
Learner  
15+15+10+8
36+10+10
[Diagram]
Expert  
40+8
30+20+6


순번 가르쳐달라고 누군가 레딧에 올렸던 사진



[Diagram]
 
[Diagram]
5×5 *``*``  

이것은 절대적이지 않다. 우연히 들어맞은 경우로 보인다. 검토가 필요하다.

 
 ---------------------------------------
| # . # O . . . . .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 . . . |
| # # # . # O O O O O O O O O O O . . . |
| O # O # # # # # # # # # # # # # O O O |
| O # O # # # # # # # # # # # # # O . . |
| O # O # # # # # # # # # # # # # O . . |
| O # O # # # # # # # # # # # # # O . . |
| O # O # # # # # # # # # # # # # O . . |
| . O O # # # # # # # # # # # # # O . . |
| . . O # # # # # # . # # # # # # O . . |
| . . O # # # # # # # # # # # # # O . . |
| . . O # # # # # # # # # # # # # O . . |
| . . O # # # # # # # # # # # # # O . . |
| . . O # # # # # # # # # # # # # O . . |
| . . O # # # # # # # # # # # # # O . . |
| . . O # # # # # # # # # # # # # O O O |
| . . . O O O O O O O O O O O O O . . . |
| . . . O . . . . . . . . . . . O . . . |
| . . . O . . . . . . . . . . . O . . . |
 ---------------------------------------
반외흑석×0
반외백석×113
 
 
 ---------------------------------------
| # . # O                               |
| . O . # O                             |
| # # # # # O O O O O O O O O O O       |
| O # O # # # # # # # # # # # # # O     |
| O # O # # # # # # # # # # # # # O     |
| O # O # # # # # # # # # # # # # O     |
| O # O # # # # # # # # # # # # # O     |
| O # O # # # # # # # # # # # # # O     |
|   O O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O O # O     |
|     O # # # # # # # # # # O . # O     |
|     O # # # # # # # # # # # # # O     |
|       O O O O O O O O O O O O O       |
|                                       |
|                                       |
 ---------------------------------------
 
 
   

흑돌은 종료 전에 백팔십 개 모두 올라가 반외석이 없다.
수량 맞춰보고 채우고 할 거 없다.
좌상에 빈 자리가 셋이다. 흑돌 두 개가 반외로 떨어졌으니 나머지 하나는 백돌이다.

                                   

제외석:

낙오석: ⚫⚫ ⚪ (−1黑p)

공득점:

 
 
 
 
 
 
 

귀한 나무로 만든 다리 달린 두터운 바둑판이라면 바둑통을 반상에 올려 놓지 말고 반하의 다리 사이에 밀어 넣어 두는 것이 옳다.


 
 
 
 
 

日本棋院 공식판정: 白 1目半 負 (B+1.5)
終局
 ---------------------------------------
| . . . . . . . # O O O O # . . . . . . |  
| . . # O # . # # # O O # . . . . . . . |
| . # . O . . # # O O # . # . . . . . . |
| . . O . O # # O O # # . . . . . # . . |
| . O # # O # O O . O O # . . . . . # # |
| . . . . # # # O . O O # . . . . # # O |
| . . . . # O O O O # # . . . . . # O O |
| # # . # # # # O # # # # # . # # O . O |
| # O # # # O # O O # # O O # # O O O . |
| # O O # O O # O # # O O O # O # O . . |
| # # O O O . O O # # # O . O O . . . . |
| . . # O . . O # # O O . O . . . . . . |
| # # # # O O O O # O . O . . . . . . . |
| # # # # # # O O O # O . . . . . . . . |
| O O # O O # # # # # O . . . . . O . . |
| O . O # O O # O # O . . . . . . . . . |
| . O O # O O O O O O . . . . . O . . . |
| O # # # # # # # O O O . . . . . . . . |
| . O . # . O . # # # O . . . . . . . . |
 ---------------------------------------
퇴⚫×9
퇴⚪×10
⋯⋯⋯⋯⋯⋯⋯⋯⋯⋯⋯⋯⋯⋯⋯⋯⋯⋯⋯⋯⋯⋯⋯⋯⋯⋯⋯⋯⋯⋯⋯⋯⋯⋯⋯⋯⋯⋯⋯⋯⋯⋯⋯⋯⋯⋯⋯⋯⋯⋯⋯⋯⋯⋯⋯⋯⋯⋯⋯⋯⋯⋯⋯⋯⋯⋯⋯⋯⋯⋯⋯⋯⋯⋯⋯⋯⋯⋯⋯⋯

   
 ---------------------------------------
| . . . . . . . # O O O O # . . . . . . |
| . .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O O O O O # . . . . . # # |
| . . . . # # # O O O O # . . . . # # O |
| . . . . # O O O O # # . . . . . # O O |
| # # . # # # # O # # # # # . # # O O O |
| # O # # # O # O O # # O O # # O O O O |
| # O O # O O # O # # O O O # . . . . . |
| # # O O O O O O # # # O O O . . . . . |
| . . # O O O O # # O . . . . . . . . . |
| # # # # O O O O # O . . . . . . . . . |
| # # # # # # O O O # . . . . . . . . . |
| O O # O O # # # # # . O . . . . . . . |
| O O O # O O # O # O . . O . . . . . . |
| O O O # O O O O O O . . . . . . . . . |
| O # # # # # # # O O . . . .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
 80+97 
 ---------------------------------------
| . . . . . . . # O O O O O . . . . . . |
| . . # . # . # # O O O O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O O O O # . . . . . # # |
| . . . . # # O O O O O # . . . . # # O |
| . . . . # . . . . #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O O O |
| # . # # O O # . . # # O O # # O O O O |
| # . . # O O # . # # . O O # . . . . . |
| # # . . O O . . # # # O O . . . . . . |
| . . # . O O . # # . . O O . O O O O O |
| # # # # O O . . # . . O O . O O O O O |
| # # # # # # . . . # . . . . . . . . . |
| O O # . . # # # # # . . . . O O O O O |
| O O . # . . # . # . . . . . O O O O O |
| O O . # . O O O O O . . . . . . . . . |
| O O # # # # # # O O . . . . O O O O O |
| O O . # # . # # # # . . . . O O O O O |
 ---------------------------------------
   

흑백중 한 쪽을 센다. 나머지 한 쪽은 세지 않아도 알 수 있다.

WP``=177+3.75``
BP``=(360-177)-3.75``

W``+1.5``

중국인들이 실제 쓰는 것은 일방 단독의 절대평가다.
반분치 달성 여부로도 알 수 있음이니 이쪽이 간편하다.
177 − ((360÷2)−(7.5÷2)) = 0.75
또한 중국은
상충점(neutral point)을 분공하고 있는데
'361÷2'를 고정값으로 사용하기 위한
편의상에 편법일 뿐이다.
(177+0.5) − 176.75
   
  
 
 
 
 
 
 ---------------------------------------
| O O # # # # # # O O O O # # # # # # # |
| O O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O O # # # # # # # # # # |
| # # # # # # O O O O O # # # # # # # # |
| # # # # # # # O O O O # # # # # # # O |
| # # # # # O O O O # # # # # # # # O O |
| # # # # # # # O # # # # # # # # O O O |
| # O # # # O # O O # # O O # # O O O O |
| # O O # O O # O # # O O O # O O O O O |
| # # O O O O O O # # # O O O O O O O O |
| # # # O O O O # # O O O O O O O O O O |
| # # # # O O O O # O O O O O O O O O O |
| # # # # # # O O O # O O O O O O O O O |
| O O # O O # # # # # O O O O O O O O O |
| O O O # O O # O # O O O O O O O O O O |
| O O O #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
| O # # # # # # # O O O O O O O O O O O |
| O O . # # # # # # # O O O O O O O O # |
 ---------------------------------------
填滿計點 (타이완 잉 씨 룰)

우측 하단 모서리 負子 1 = 白勝 2點

黑貼8點(좌측 상단 모서리 白 넉 점)이지만 和棋黑勝이라는 규정이 있다.
비겼을 때는 무승부가 아니라 흑의 빅승이 된다는 말이다.
꼭 승부를 나누고야 말겠다는 정책 변환인데 사실상 본토의 貼7½이 되어버렸다.

(이럴 필요가 없는 일이었다.
판빅이 나오는 것은 아주 드문 일이니 그건 그것대로 인정했어야 오히려 훌륭했다.
바둑판 위에 결과가 드러난다는 모토와도 맞지 않으니 전만법의 정체를 퇴색시켰다.)
   



[Diagram]
178-172  

Stone scoring

Tip: 대국전 바둑통의 돌을 모두 바둑판 위에 올려 깔아놓는다.
     그러면 하나하나 일일이 세지 않고도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국후에 남은 반외석만 비교하면 된다.

중국식처럼 계산해도 승부 산출이 가능하니 돌 메우기 싫으면 안 메워도 된다.
단독의 절대평가로 계산할 때 일체 하나당 1을 가감하면 된다.
좌도는 일체의 수가 서로 같으니(삼대삼) 가감값은 0이다.

검산:

361-11 = 350
350÷2 = 175
7.5÷2 = 3.75
175-3.75 = 171.25
172-171.25 = 0.75

보다시피 중국식 고정값 결과와 똑같다.



[Diagram]
178-173  

이것을 예로 들자.
komi를 7.5라 치면 2.5 백승이다.
이걸 두 눈 남기는 거 무시하고 중국식으로 하면

177−176.75 = 0.25

흑은 세 덩어리, 백은 두 덩어리이니 하나 차이가 난다. 1을 더해서 1.25 백승이다.
2.5의 반분값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Diagram]
68–62  

상충점을 사이에 두고 존거를 유지한 형태다. 피충불가는 아니다. 일체가 내포한 공점을 득점으로 하는 방안. 그러나 마찬가지다.

square 는 득점이다.
cross 는 비득점이다. X를 내포한 두 백돌(▲)은 일체가 아니다.
white+circle 는 여덟 점 일체를 만들ㅡ어 ■를 득점화 하ㅡ기 위해 추가된 돌.


[Diagram]

[Diagram]


강동윤 vs. TuoJiaX
 ---------------------------------------
| . . . . . . # # # O O # . . . . . . . |
| . O # # . # # O O O # # . . . . . . . |
| . . O # # O # # # O # . O . . # . # # |
| . . O # # O # O O O # . . . # . # # O |
| . . . # # O O O O O # . . . . # O O O |
| . O O # . # # O O O O # # # # O O . . |
| . # # . . . # # # O O O O O O O . . . |
| . # O # # . . . # # # # O # O . O . . |
| . # O # O # # # # # # . # # O . O O O |
| . # O O O O # # O O O # . # O . O # O |
| . # O . O O # O . O O O # # O O # # # |
| . # O # O O O O O O O # # # # # # # O |
| . # O O # # O . O # O O O O # O # O O |
| . # # O # O O O # . # O O # # O O . O |
| # # O # # # # # # # # O # O O O . O . |
| O O O O O O O # O # # # # O # O O O . |
| O O # # O # O # O O # # # # # O O . O |
| O # # . # # O O . O # O O # . # O # . |
| # . # # # O . O O O O O O # # . # . # |
 --------------------------------------- 310착
무승부 중단

실전에서 착퇴 순환 패턴이 발생하면 어느 한 -불리한-쪽이 승부를 저지하는 형국이 된다. (일본룰)

[Diagram]
397착 終  

본룰하에서라면 白勝이다.
응착을 강요받는 흑의 입장으로서는 우상과 좌상을 확정짓지 못하니 共地화를 면할 길이 없고 반외석이 소진될 때 까지 진행해봤자 득점 부족이다.

W ×0       white+cross ×39

B ×2       black+cross ×38

 
| . . . . . . .
| # # # # # . .
| O O O O O # .
| . . O . O # .
| # # # O O # .
| O . # . O # .
| O O # . O # .
 -------------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目算 · 檢算



[Diagram]

逆盤

19×19 기반은 二路점이 네 개지만 역반은 三路점이 네 개다.

Reverse Board


 
[Diagram]
 
       

 ⋯⋯

       
[Diagram]
종착  
      

 →

      
[Diagram]
종료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그래서 끝나기 전까지는 확정이 아니다.
[Diagram]
1 : 0  
[Diagram]
61 : 0  
[Diagram]
1 : 2  
[Diagram]
0 : 23  

→     →     →     →

[Diagram]
또는 b  
[Diagram]
 
[Diagram]
자충퇴  
[Diagram]
 
[Diagram]
 


[Diagram]
 

착점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모든 것이 불확정이다. 매 순간 순간이 국면 그대로의 득점이다.





흑이 반목 지는 형세를 극복하고자 착퇴 리싸이클링을 유도했다. 일회 반복후 양 대국자의 의지를 확인, 무승부 판정으로 종결된 명국이다. 333번 종착. 흑 林海峰, 백 小松英樹.
실전 三百三十三착 중단국에 임의로 수순을 추가하여 종국을 가정한 변화도
[Diagram]
74 : 66  

돌을 퇴거하여 정리한 모습. (색득점을 모두 공득점화)

[Diagram]
 

점유지를 메운다. 제일 먼저 백 돌 세 개를 흑지에 넣는다. (7점)
공득점 유무를 보면 승부 결과를 알 수 있다.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Diagram]
 

순장바둑: 혼합 포진 베틀필드. 천원의 흑이 첫수라면 흑선이 맞지만 항상 천원에 두어져 있는 그것을 자유착점이라 할 수 있겠는가. 똑같이 포진해 놓고 흑돌이 하나 더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백선이라 하는 것도 이상하고 애매하다. 30년대에 단 하나의 신문사가 버티어 왔으나 막을 내렸다. 이 신문 기보는 천원 흑을 1로 표기해 왔다. 강제 착점인가. 배석은 게임 시작전 이미 배치해 놓는 것이고. 바둑에서 강제 착점이라는 것은 아니 되는 것이다. 그시절 순장 바둑을 구경해 본 적 없으니 정보가 부족하다. 그리고 순장바둑 기록물은 구한말과 일제시대 것 뿐이다. 조선은 물론이고 그 이전의 시대에 어떤 바둑을 두었는지는 밝혀진 바 없다. 사료가 극히 부실함에도 불구하고 순장바둑을 한국의 전통 바둑이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

[Diagram]
61–60  
색득점
공득점: 일색의 돌이 내포한 공지
[Diagram]
 









“개 버릇 벼룩 주랴”


“한 번 죽지 두 번 사냐”


나는 죽어서 뭐가 될까. 아무것도 아니었으면 좋겠지만 우주의 섭리는 날 내버려두지 않을 것이다. 재사용 대기.

구름이 구름인 것은 구름이 구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름이 구름인 것은 내가 구름을 보고 있기 때문이다.

길가에 쓰레기 봉투가
전봇대에 기대어 잠을 잔다
밥을 먹고 인간행세하는 꿈을 꾼다

밉지 않은 바보

 

極 轉 空   殺 心 殺

 

  ꧁꧂ _ - ° `

 ㅈ·ㅗ··ㅣ···ㅇ····ㅣ·····ㄹ······ㅇ·······ㅕ········ㅇ·········

어느 날 자판을 무작위로 막 쳤는데 어느 줄에 이것이 찍혀 있었다.

(*_^$

 


특타:= 수기동대+기동격대
特打


안면 마비

거울을 본다
순간 혼란이 일었다 사라지고
내 마음도 거울 속의 얼굴을 닮아간다
'....'
됐다고 생각한 나는 문을 나선다
뿌연 하늘의 태양이 내 얼굴을 비춰도
도시의 음침한 그늘이 내 얼굴을 가려도
나는 한결같다
어제처럼 오늘도 나는 그렇게
내 주위를 스치는 사람들처럼
의미 없는 하루에 일과를 되풀이한다
그것도 썩 잘 해내고 있다.

[Diagram]


허망한 세상
망각의 세월이 흘러도
절대 죽지 않는 기억의 장면 속에서
그를 항상 찾고 있었어
날 보고 있었어
그자의 이름은 떠도는 그림자
달 속에 박힌 한 점 구름이지
소리 없는 검은 바람이 부는 밤이면
영원히 닿지 않을 방랑의 여정 그 끝으로
하얀 달을 따라서

내가 나무에 기대면 나는 나무가 된다
내가 바위 위에 앉아 있으면 나도 돌이다
흐르는 공기 따라 숨을 내쉬면
한 줄기 바람이 내가 되고
내리는 비에 젖어 같이 스며들면
물 한 방울의 모든 여행을 함께 한다
눈 감았다 뜨면
빛과 그림자로 삼라만상을 그리고
문득 입을 열어 부르면
기어가던 개미도 반갑게 화답해 준다
가만히 몸으로 귀 기울여 진동하는 공명음 속에
태양계 행성들의 장엄한 합창 소리 들려오고
위대한 침묵의 중심을 향해 스스로 뛰어드니
'옴'의 목소리로 전우주가 내 가슴안에 있다
자유
고독하나 외롭지 않고 슬프지만 진정 순수한 것
그것의 또 다른 이름은 창조와 사랑 그리고 지혜
선악을 초월한 일은 기억조차 않으며
사라진 마음은 본시부터 없던 것이었고
이름 없는 존재로서 홀로 합일을 이루니
전에는 제자였던 자 지금은 스승이라
이제 얻고자 하는 것 없고
누구든 원한다면 밝은 길을 가리켜주고자 하는
작은 바램일 뿐이지만
많은 인간 중에는 누가 있어 나를 보고 다가올까
과거도 아니고 미래도 아니고
여기 있으나 어디에도 없는
나는
지고의 우주원력 七大聖의 일곱 가지 힘
우주칠맥


Noname/Sandbox-ITD last edited by 39.7.54.222 on March 7, 2025 - 14:46
RecentChanges · StartingPoints · About
Edit page ·Search · Related · Page info · Latest diff
[Welcome to Sensei's Library!]
RecentChanges
StartingPoints
About
RandomPage
Search position
Page history
Latest page diff
Partner sites:
Go Teaching Ladder
Goproblems.com
Login / Prefs
Tools
Sensei's Library